[책 소개]
‘AI와 함께 단편소설 작가 되기 :단편소설 개론에서 통합형 프롬프팅 작법까지’는 AI와 함께 단편소설을 창작하고, 단편소설 작가가 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여 드리는 안내서입니다. 초보자부터 전공자까지 누구나 AI 프롬프팅을 통해 “흥미로운 단편소설”을 완성할 수 있도록 기획, 설계되었습니다. 본서와 함께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며, 재미있고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내시길 기대합니다.
[추천사]
★★★★★
"스토리텔링 예술과 AI 기술을 동시에 내 것으로 만드는 획기적인 안내서!”
★★★★★
"AI와 함께 상상력을 깨우는 단편소설 창작 비법!"
[책의 구성]
‘AI와 함께 단편소설 작가 되기 :단편소설 개론에서 통합형 프롬프팅 작법까지’의 구조는 제1부와 제2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의 Stage 1.에서는 캐릭터(Character) 생성하는 방법을, Stage 2.에서는 스토리 (Story)를 설계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각 장과 섹션은 단편소설 창작의 기본 개념과 핵심 요소를 정리하여 설명드리고, 실전 프롬프팅을 통해 그자리에서 생성 결과를 확인하고 학습하실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제2부의 Step 1.에서는 단편소설 캐릭터 생성을 위한 완성 프롬프트 템플릿을, Step 2.에서는 단편소설 스토리 설계를 위한 완성 프롬프트 템플릿을 소개합니다.
본서의 모든 단계는 단편소설 문학의 핵심 이론과 해법으로서의 구체적인 프롬프트와 실질적인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책의 활용법]
‘AI와 함께 단편소설 작가 되기 :단편소설 개론에서 통합형 프롬프팅 작법까지’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부:
‘캐릭터의 생성, 스토리 설정’ 등의 학습과 실습은 제1장으로 가십시오!’
제1권은 우리가 캐릭터와 구조, 이야기에 대해 애정을 쌓아가는 과정입니다.
필요한 요소 부분만 먼저 선별적으로 학습, 활용하셔도 됩니다.
제2부:
‘단편소설을 위한 완성 템플릿’과 함께 곧바로 작품 생성을 하려면 제2장으로 가십시오!’
제2부는 본격적인 작품 생성을 위한 프롬프팅과 작품 생성 과정입니다.
[책의 목차]
WarmUp
0. 단편소설의 이해
0.1 단편소설이란?
: 짧고 강렬한 이야기의 세계
0.2 단편소설의 특징과 매력
: 간결함과 강렬한 결말
0.3 단편소설의 형식
: 다양한 서사 형식과 실험적 기법
0.3.1 시점에 따른 형식
0.3.2 주제에 따른 특별한 형식
0.3.3 최근의 트랜디한 형식
0.4 단편소설의 프롬프팅
: AI 프롬프팅 그리고 생성 작가
제1부
Stage 1.
캐릭터를 생성합니다!
1.1 프롬프팅을 통한 캐릭터 개발
: 캐릭터의 기본 설정을 세팅하자!
1.2 캐릭터의 배경 스토리와 심리 탐구
: 캐릭터의 서사를 만들자!
1.3 조연 캐릭터의 생성
: 주인공의 대비자, 조연을 만들자!
1.4 인물 관계와 대사 생성하기
: 캐릭터 간의 대화를 짓자!
Stage 2.
스토리를 설계합니다!
2.1 프레미스와 아웃라인 만들기
: 이야기의 방향을 잡는 기초 작업
2.2 플롯 전개와 갈등 설정
: 이야기의 긴장감을 높이는 사건과 갈등
2.3 인과관계와 스토리 연결성 강화
: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연결하는 힘
2.4 다양한 결말 시뮬레이션
: 창의적인 마무리 탐색하기
제2부
Step 1. 단편소설
캐릭터 생성을 위한
완성 프롬프트 템플릿
● 단편소설의 주인공
생성 프롬프트 템플릿
● 단편소설의 조연
캐릭터용 완성 프롬프트 템플릿
● 단편소설 프롬프트 모듈:
프레미스/직업/성격 인덱스
Step 2. 단편소설
스토리 설계를 위한
완성 프롬프트 템플릿
● 템플릿 사용 방법
● 단편소설 생성용 통합 템플릿
● 단편소설 작품 생성 결과
서우석
성균관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
독일 Trier Universität에서 학위연구과정.
주한독일문화원 Goethe Institut에서
‘독일어 학습자를 위한 Grafiken und Texte’ 단독 전시회.
다국어 학습 & 디자인 그룹 BOOXEX의 대표.
「Faust Ⅰ」의 解體批評 論考.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首善論集 Vol.18
P. Weiss' 「Marat & Sade」의 解體批評 論考.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首善論集 Vol.17
「파우스트 1 부」의 解體批評 論考 ( 1 ). 한국연극학 Vol.4 No.1
P. SZONDI의 現代 戱曲論과 B. Brecht의 敍事劇論 比較硏究
인천대학교 외국어교육원 논문집 제7집
B. Brecht의 敎訓劇과 敍事劇의 共通性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우리극연구 . 5 : 우리의 연극성을 찾아서 [공간미디어 편집부 편]. 기획논단